데코레이터 패턴은 기존 객체를 확장하거나 수정하는 패턴이다. 이 패턴의 핵심은 "객체의 기능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추가적인 기능을 동적으로 추가"하는 것이다.
프록시 패턴은 실제 객체를 대신하는 프록시 객체를 제공하여 실제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패턴이다.
샌드위치 전문점을 예로 들면, 요리사가 샌드위치를 만들 때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따라 햄, 치즈, 상추 등을 기존의 빵 사이에 추가한다. 이것이 데코레이션 패턴과 유사한 개념이다. 그리고 요리사는 샌드위치를 직접 손님에게 전달하지 않고, 그 역할을 종업원에게 위임한다. 종업원은 샌드위치를 손님에게 전달한다. 이것이 프록시 패턴이다.
결국 두 패턴의 차이는 "객체의 기능 확장"과 "객체 접근의 제어"에 있다. 데코레이터 패턴은 기능 확장에 초점을 두며, 프록시 패턴은 접근 제어에 중점을 둔다.
gpt 평가
당신은 데코레이터 패턴과 프록시 패턴에 대한 핵심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특히 데코레이터 패턴의 핵심인 "객체의 기능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추가적인 기능을 동적으로 추가"
하는 개념과 프록시 패턴의 핵심인 "실제 객체를 대신하는 프록시 객체를 제공하여 실제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개념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당신은 이 두 패턴을 샌드위치 만들기와 같은 일상적인 상황에 비유하여 설명하였습니다.
이러한 비유는 복잡한 디자인 패턴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이 비유를 통해
당신은 데코레이터 패턴이 객체의 기능을 확장하는 데 사용되며, 프록시 패턴이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데코레이터 패턴과 프록시 패턴의 세부 구현에 대한 이해도를 더 향상시키면 좋겠습니다.
또한, 이 두 패턴이 실제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지에 대한
실제 예제를 살펴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평가 점수를 매기자면, 실무자 수준에서 10점 만점에 7점을 드리겠습니다. 이해도가 상당히 높으나,
세부 구현과 실제 활용에 대한 이해도를 더 향상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Java > 스프링 AOP'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체클레스, 인터페이스 프록시 (0) | 2023.08.15 |
---|---|
서브쿼리, JOIN, 프로시저 (0) | 2023.08.08 |
데코레이션 패턴 (0) | 2023.08.07 |
프록시 패턴 (0) | 2023.08.04 |
템플릿 메서드 패턴, 전략 패턴, 콜백 패턴의 차이 (0) | 2023.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