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패킷의 전달
- 패킷의 전달은 두가지 과정으로 나뉜다.
- 직접 전달 과정과 간접 전달 과정이 그것인데,
- 직접 전달과정은 현재 패킷의 위치와 목적지가 같은 네트워크일때를 의미한다.
- 간접 전달과정은 패킷 전송 위치와 목적지의 네트워크가 다른 네트워크일 때, 이를 찾아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 다음-홉 : 라우팅 테이블을 가장 작게 만드는 기술. 전체 경로 정보 대신 다음 홉 주소만 저장
- 네트워크-지정 : 라우팅 테이블 작게, 검색 과정 간단하게.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는 하나의 개체로 보는 방법
- 호스트-지정-라우팅 : 라우팅 테이블에 목적지 주소 저장
- 디폴트 라우팅
- 여러 주소 체계에서의 패킷 동작 과정 이해
- 패킷이 생성되면 이 패킷에는 출발지와 목적지의 IP 주소가 포함되어있다.
- 만약 패킷의 목적지 IP 주소가 같은 로컬 네트워크 내에 있다면, 패킷은 직접 해당장치로 전송된다.
- 그렇지 않다면, 패킷은 라우터로 전송된다. 라우터는 패킷의 목적지 IP 주소를 확인하고 이 IP 주소를 사용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조회한다. 라우팅 테이블은 패킷이 어디로 전송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 라우터는 패킷의 next hop을 결정하고 이 next hop에 해당하는 장치의 MAC 주소를 찾는다.
- 이 MAC 주소는 패킷이 특정 네트워크 세그먼트에서 다음 hop으로 전송되는 데 사용된다.
- 라우터는 이 MAC 주소를 사용하여 패킷을 다음 hop으로 전송한다.
- 목적지에 도착할때까지 반복한다.
- 라우터와 라우팅 과정에서의 라우팅 테이블의 구조와 동작과정 이해
- 네트워크 대상
- 넥스트 홉 주소
- 인터페이스 : 패킷이 전송되어야 하는 라우터의 특정 포트 또는 인터페이스
- 메트릭 : 경로 신뢰도
용어 정리
참고 자료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P & RARP (0) | 2023.07.22 |
---|---|
인터넷 프로토콜 (0) | 2023.07.22 |
네트워크 계층과 논리 주소 (0) | 2023.07.22 |
네트워크 구성장비 (0) | 2023.07.22 |
TCP / IP 프로토콜 (0) | 2023.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