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TCP / IP 프로토콜

ta_chan 2023. 7. 22. 18:21
  • TCP/IP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에서의 기반기술
    • OSI7 물리계층(케이블,무선 을 이용한 전송), 데이터링크 계층(인트라 네트워크 통신에서 흐름 제어 및 오류제어를 담당, 이더넷 프로토콜, 와이파이 프로토콜 )의 역할
    • MAC
    • 비트스트림(OSI7 physical layer), 프레임(dataLink Layer)
  • IEEE802 표준
    • 근거리 통신망(LAN)과 도시권 통신망(MAN)을 관할하는 표준 규칙들
      • IEEE802.1 : 상위 계층 인터페이스 및 MAC 브릿지
      • IEEE802.2 : LLC(논리적 연결 제어) 하부 계층을 정의하는 부분
        • 에러 보정, 프레임 생성, 흐름제어 수행, 네트워크 계층에서 서비스 제공
      • IEEE802.3 : MAC 계층과 물리 계층을 정의하는 표준
        • 다양한 데이터 속도, 물리 계층 지원
        • CSMA/CD방식
        • 802.3의 확장으로 고속 이더넷이 존재
        • 이더넷에(CSMA/CD) 관한 규격
      • IEEE802.4 : MAC 계층과 물리 계층을 정의하는 표준
        • 토큰 버스 방식 사용, LAN에서 토큰이라는 제어 프레임이 매체 접근을 제어 ?
        • 전송 매체와 방식에 따라 1Mbps, 5Mbps, 10Mbps, 20Mbps 등 제공
        • 사무실, 연구실, 또는 공장 등 산업 시설에 많이 응용됨
        • Token Bus
      • IEEE802.5 : MAC 계층과 물리 계층을 정의하는 표준
        • 4Mbps, 16Mbps에서 STP와 UTP 선 연결위에, 토큰 패싱 액세스를 지원
        • 토큰링 방식을 사용
        • Toiken Ring
      • IEEE802.6 : 도시형 네트워크(MAN)을 정의한 규격
      • IEEE802.9 : IS LAN
      • IEEE802.10 : 네트워크 본안의 규격제정에 관계되어 있음???
      • IEEE802.11 : 무선 LAN(CSMA/CA)
      • IEEE802.12 : 디멘드, 프라이빗(100VG-AnyLAN)
      • IEEE802.14 : Cable Modem
      • IEEE802.15.1 : 블루투스
      • IEEE802.15.4 : ZigBee
      • IEEE802.16 : Wibro(와이브로) & WiMAX
      일반적으로 우리가 접하는 것은 IEEE802.3 이다.
  • 유선랜 이더넷
    • 유선랜을 사용한 통신을 보통 이더넷(CSMA/CD 프로토콜을 사용한 통신)이라고 한다.
    • 랜선에 연결된 목적지로 통신을 하기 위한 기술일 뿐.
    • 인더넷 연결 ≠ 인터넷
    • 인터넷은 이더넷이 아니더라도, 무선랜을 통해 연결이 가능
    • 인트라넷의 경우 이더넷 기술로 연결됨
  • 무선랜 기술
    • Wireless LAN, WLAN, Wi-Fi 로도 불림
    • 전파를 이용해 컴퓨터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을 의미
    • IEEE802.11 표준에 기반
  • 점-대-점 광역통신망(Point-to-Point Protocol, PPP)
    • 두 점 간을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때 이용하는 광역 통신망(WAN)용 통신 규약
    • 데이터 링크 계층에 해당 → frame 사용
    • 인증, 암호화를 통한 전송 및 데이터 압축 기능을 제공
    • LAN 접속장치의 라우터 는 대부분 ppp를 지원한다.
    • 데이터 패킷의 헤더 부분만을 압축하는 기능, 비밀번호 인증 규약(PAP), 챌린지-핸드셰이크 인증 규약(CHAP) 등의 인증 규약을 포함
    • 원격 LAN 접속 시에 접속 서버가 클라이언트 개인 컴퓨터에 자동으로 IP주소를 할당(IPCP)
    • 공중망 을 통하여 ISP 서버에 접속하는 다이얼 앱 IP 접속 에서는 일반적으로 PPP 접속으로 IPCP를 이용한다. → 사용자는 세계적 IP 주소를 취득하지 않아도 된다.
    • 다이얼 앱 IP 접속을 위한 대표적인 규약
    • PPP의 인증 기능
      • PAP : 평문 ID, 암호를 사용해 인증하는 매우 단순한 프로토콜
        • 인증 요청 및 인증 응답이라는 2개의 절차만 존재(2-way handshaking protocol)
        • 보안이 취약하다 → 반복 공격에 취약
        • 개선책으로 CHAP이 존재
        • PAP 데이터
          • 인증 요청인 경우 : ID, 암호
          • 인증 응답인 경우 : 승인 및 거부를 나타내는 문자열
        • CHAP : 기존 PAP 방식의 보안 취약점을 개선한 인증 프로토콜
          • 연결 개설은 클라이언트가 하고, 인증 과정은 서버가 주관
          • 3단계로 인증(3-way handshaking protocol)
            1. Challenge : 인증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랜덤한 Challenge 메시지(랜덤수)를 보내 그 질문에 대한 올바른 응답을 요청한다.
            2. 응답 : 클라이언트가 Challenge 메시지와 자신의 암호 등을 이용해 해쉬 함수를 사용하여 계산한 결과인 해쉬 값을 보낸다.
            3. 인증 승인 또는 거부 : 인증 서버는 값이 일치하는지 안하는지에 따라 응답함
          • CHAP 데이터
  • FDDI, PPP, ATM
    • FDDI : 근거리통신망 광케이블 데이터전송 표준
      • 토큰링에 기반
    • PPP : 점대점 광역통신망
    • ATM(비동기전달모드) : 자료를 일정한 크기로 정하여 순서대로 전송하는 자료의 전송방식
      • 고속으로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
      • 비동기 전송모드 사용
      • 음성, 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전송과 데이터 전송이 가능
      • IP 헤더를 사용하지 않고 셀(Cell)이라는 ATM 전용 헤더 사용

용어 정리

  • CSMA/CD방식 : 이더넷에서 사용하는 미디어 접근제어 방법.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다른 장치가 사용중인지 확인하고, 충돌이 발생하면 재전송한다.
  • MAN : 도시 규모의 네트워크를 의미
  • 토큰 버스 방식: 네트워크에서 통신 권한을 가진 토큰을 순환시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 STP : 전기적인 잡음을 줄이기 위해 보호 층으로 둘러쌓인 쌍선 케이블을 의미
  • UTP : 보호층이 없는 쌍선 케이블을 의미
  • 토큰 패싱 액세스 : 토큰 버스 방식이나, 토큰링 방식처럼 토큰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 토큰링 방식 : 토큰버스 방식과 비슷하지만 물리적인 네트워크 구성이 링 형태이다
  • MAC 브릿지 : 데이터 프레임을 전달하는 브릿지를 의미
  • 디멘드 : 수요에 따라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
  • 프라이빗(100VG-AnyLAN) : 이더넷과 토큰링의 장점을 결합한것
  • IS LAN :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LAN을 지칭
  • 무선 LAN(CSMA/CA) : 무선 네트워크에서 충돌을방지하기 위한 방법
  • Cable Modem : 케이블 TV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모뎀
  • ZigBee : 저전력 디지털 라디오를 기반으로 한 무선 통신 표준
  • Wibro(와이브로) : 고속 인터넷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기술
  • WiMAX : 광범위한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기술
  • 라우터 :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장치
  • LAN 접속장치 : 라우터, 스위치 , 허브 등 LAN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
  • 비밀번호 인증 규약(PAP) :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인증하는 프로토콜
  • 챌린지-핸드셰이크 인증 규약(CHAP) : 비밀번호를 직접 전송하지 않고 인증하는 보안 프로토콜
  • 다이얼 업 IP 접속 : 전화선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 하는 방법

참고 자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기반 기술

[네트워크] TCP/IP 계층 기본 개념(네트워크 계층, 인터넷 계층, 전송계층, 응용계층)

IEEE802 표준

3. IEEE 802 Protocol

802

[컴퓨터네트워크] IEEE 정리

이더넷과 인터넷

이더넷(ethernet)과 인터넷(internet)의 차이 - 인터넷이란?

점대점광역통신망

점대점 통신 - 해시넷

TTA정보통신용어사전_모바일

[PPP] Point-to-Point Protocol이란 무엇인가? <1>

PPP(Point to Point Protocol)

  • FDDI, PPP, ATM

박용타(발표자료)

  • TCP/IP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에서의 기반기술
    • OSI7 물리계층(케이블,무선 을 이용한 전송), 데이터링크 계층(인트라 네트워크 통신에서 흐름 제어 및 오류제어를 담당, 이더넷 프로토콜, 와이파이 프로토콜 )의 역할
    • MAC
    • 비트스트림(OSI7 physical layer), 프레임(dataLink Layer)
  • IEEE802 표준
    • 근거리 통신망(LAN)과 도시권 통신망(MAN)을 관할하는 표준 규칙들
      • IEEE802.1 : 상위 계층 인터페이스 및 MAC 브릿지
      • IEEE802.2 : LLC(논리적 연결 제어) 하부 계층을 정의하는 부분
        • 에러 보정, 프레임 생성, 흐름제어 수행, 네트워크 계층에서 서비스 제공
      • IEEE802.3 : MAC 계층과 물리 계층을 정의하는 표준
        • 다양한 데이터 속도, 물리 계층 지원
        • CSMA/CD방식
        • 802.3의 확장으로 고속 이더넷이 존재
        • 이더넷에(CSMA/CD) 관한 규격
      • IEEE802.4 : MAC 계층과 물리 계층을 정의하는 표준
        • 토큰 버스 방식 사용, LAN에서 토큰이라는 제어 프레임이 매체 접근을 제어 ?
        • 전송 매체와 방식에 따라 1Mbps, 5Mbps, 10Mbps, 20Mbps 등 제공
        • 사무실, 연구실, 또는 공장 등 산업 시설에 많이 응용됨
        • Token Bus
      • IEEE802.5 : MAC 계층과 물리 계층을 정의하는 표준
        • 4Mbps, 16Mbps에서 STP와 UTP 선 연결위에, 토큰 패싱 액세스를 지원
        • 토큰링 방식을 사용
        • Toiken Ring
      • IEEE802.6 : 도시형 네트워크(MAN)을 정의한 규격
      • IEEE802.9 : IS LAN
      • IEEE802.10 : 네트워크 본안의 규격제정에 관계되어 있음???
      • IEEE802.11 : 무선 LAN(CSMA/CA)
      • IEEE802.12 : 디멘드, 프라이빗(100VG-AnyLAN)
      • IEEE802.14 : Cable Modem
      • IEEE802.15.1 : 블루투스
      • IEEE802.15.4 : ZigBee
      • IEEE802.16 : Wibro(와이브로) & WiMAX
      일반적으로 우리가 접하는 것은 IEEE802.3 이다.
  • 유선랜 이더넷
    • 유선랜을 사용한 통신을 보통 이더넷(CSMA/CD 프로토콜을 사용한 통신)이라고 한다.
    • 랜선에 연결된 목적지로 통신을 하기 위한 기술일 뿐.
    • 인더넷 연결 ≠ 인터넷
    • 인터넷은 이더넷이 아니더라도, 무선랜을 통해 연결이 가능
    • 인트라넷의 경우 이더넷 기술로 연결됨
  • 무선랜 기술
    • Wireless LAN, WLAN, Wi-Fi 로도 불림
    • 전파를 이용해 컴퓨터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을 의미
    • IEEE802.11 표준에 기반
  • 점-대-점 광역통신망(Point-to-Point Protocol, PPP)
    • 두 점 간을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때 이용하는 광역 통신망(WAN)용 통신 규약
    • 데이터 링크 계층에 해당 → frame 사용
    • 인증, 암호화를 통한 전송 및 데이터 압축 기능을 제공
    • LAN 접속장치의 라우터 는 대부분 ppp를 지원한다.
    • 데이터 패킷의 헤더 부분만을 압축하는 기능, 비밀번호 인증 규약(PAP), 챌린지-핸드셰이크 인증 규약(CHAP) 등의 인증 규약을 포함
    • 원격 LAN 접속 시에 접속 서버가 클라이언트 개인 컴퓨터에 자동으로 IP주소를 할당(IPCP)
    • 공중망 을 통하여 ISP 서버에 접속하는 다이얼 앱 IP 접속 에서는 일반적으로 PPP 접속으로 IPCP를 이용한다. → 사용자는 세계적 IP 주소를 취득하지 않아도 된다.
    • 다이얼 앱 IP 접속을 위한 대표적인 규약
    • PPP의 인증 기능
      • PAP : 평문 ID, 암호를 사용해 인증하는 매우 단순한 프로토콜
        • 인증 요청 및 인증 응답이라는 2개의 절차만 존재(2-way handshaking protocol)
        • 보안이 취약하다 → 반복 공격에 취약
        • 개선책으로 CHAP이 존재
        • PAP 데이터
          • 인증 요청인 경우 : ID, 암호
          • 인증 응답인 경우 : 승인 및 거부를 나타내는 문자열
        • CHAP : 기존 PAP 방식의 보안 취약점을 개선한 인증 프로토콜
          • 연결 개설은 클라이언트가 하고, 인증 과정은 서버가 주관
          • 3단계로 인증(3-way handshaking protocol)
            1. Challenge : 인증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랜덤한 Challenge 메시지(랜덤수)를 보내 그 질문에 대한 올바른 응답을 요청한다.
            2. 응답 : 클라이언트가 Challenge 메시지와 자신의 암호 등을 이용해 해쉬 함수를 사용하여 계산한 결과인 해쉬 값을 보낸다.
            3. 인증 승인 또는 거부 : 인증 서버는 값이 일치하는지 안하는지에 따라 응답함
          • CHAP 데이터
  • FDDI, PPP, ATM
    • FDDI : 근거리통신망 광케이블 데이터전송 표준
      • 토큰링에 기반
    • PPP : 점대점 광역통신망
    • ATM(비동기전달모드) : 자료를 일정한 크기로 정하여 순서대로 전송하는 자료의 전송방식
      • 고속으로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
      • 비동기 전송모드 사용
      • 음성, 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전송과 데이터 전송이 가능
      • IP 헤더를 사용하지 않고 셀(Cell)이라는 ATM 전용 헤더 사용

용어 정리

  • CSMA/CD방식 : 이더넷에서 사용하는 미디어 접근제어 방법.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다른 장치가 사용중인지 확인하고, 충돌이 발생하면 재전송한다.
  • MAN : 도시 규모의 네트워크를 의미
  • 토큰 버스 방식: 네트워크에서 통신 권한을 가진 토큰을 순환시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 STP : 전기적인 잡음을 줄이기 위해 보호 층으로 둘러쌓인 쌍선 케이블을 의미
  • UTP : 보호층이 없는 쌍선 케이블을 의미
  • 토큰 패싱 액세스 : 토큰 버스 방식이나, 토큰링 방식처럼 토큰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 토큰링 방식 : 토큰버스 방식과 비슷하지만 물리적인 네트워크 구성이 링 형태이다
  • MAC 브릿지 : 데이터 프레임을 전달하는 브릿지를 의미
  • 디멘드 : 수요에 따라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
  • 프라이빗(100VG-AnyLAN) : 이더넷과 토큰링의 장점을 결합한것
  • IS LAN :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LAN을 지칭
  • 무선 LAN(CSMA/CA) : 무선 네트워크에서 충돌을방지하기 위한 방법
  • Cable Modem : 케이블 TV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모뎀
  • ZigBee : 저전력 디지털 라디오를 기반으로 한 무선 통신 표준
  • Wibro(와이브로) : 고속 인터넷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기술
  • WiMAX : 광범위한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기술
  • 라우터 :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장치
  • LAN 접속장치 : 라우터, 스위치 , 허브 등 LAN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
  • 비밀번호 인증 규약(PAP) :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인증하는 프로토콜
  • 챌린지-핸드셰이크 인증 규약(CHAP) : 비밀번호를 직접 전송하지 않고 인증하는 보안 프로토콜
  • 다이얼 업 IP 접속 : 전화선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 하는 방법

참고 자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기반 기술

[네트워크] TCP/IP 계층 기본 개념(네트워크 계층, 인터넷 계층, 전송계층, 응용계층)

IEEE802 표준

3. IEEE 802 Protocol

802

[컴퓨터네트워크] IEEE 정리

이더넷과 인터넷

이더넷(ethernet)과 인터넷(internet)의 차이 - 인터넷이란?

점대점광역통신망

점대점 통신 - 해시넷

TTA정보통신용어사전_모바일

[PPP] Point-to-Point Protocol이란 무엇인가? <1>

PPP(Point to Point Protocol)

  • FDDI, PPP, ATM

박용타(발표자료)

  • TCP/IP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에서의 기반기술
    • OSI7 물리계층(케이블,무선 을 이용한 전송), 데이터링크 계층(인트라 네트워크 통신에서 흐름 제어 및 오류제어를 담당, 이더넷 프로토콜, 와이파이 프로토콜 )의 역할
    • MAC
    • 비트스트림(OSI7 physical layer), 프레임(dataLink Layer)
  • IEEE802 표준
    • 근거리 통신망(LAN)과 도시권 통신망(MAN)을 관할하는 표준 규칙들
      • IEEE802.1 : 상위 계층 인터페이스 및 MAC 브릿지
      • IEEE802.2 : LLC(논리적 연결 제어) 하부 계층을 정의하는 부분
        • 에러 보정, 프레임 생성, 흐름제어 수행, 네트워크 계층에서 서비스 제공
      • IEEE802.3 : MAC 계층과 물리 계층을 정의하는 표준
        • 다양한 데이터 속도, 물리 계층 지원
        • CSMA/CD방식
        • 802.3의 확장으로 고속 이더넷이 존재
        • 이더넷에(CSMA/CD) 관한 규격
      • IEEE802.4 : MAC 계층과 물리 계층을 정의하는 표준
        • 토큰 버스 방식 사용, LAN에서 토큰이라는 제어 프레임이 매체 접근을 제어 ?
        • 전송 매체와 방식에 따라 1Mbps, 5Mbps, 10Mbps, 20Mbps 등 제공
        • 사무실, 연구실, 또는 공장 등 산업 시설에 많이 응용됨
        • Token Bus
      • IEEE802.5 : MAC 계층과 물리 계층을 정의하는 표준
        • 4Mbps, 16Mbps에서 STP와 UTP 선 연결위에, 토큰 패싱 액세스를 지원
        • 토큰링 방식을 사용
        • Toiken Ring
      • IEEE802.6 : 도시형 네트워크(MAN)을 정의한 규격
      • IEEE802.9 : IS LAN
      • IEEE802.10 : 네트워크 본안의 규격제정에 관계되어 있음???
      • IEEE802.11 : 무선 LAN(CSMA/CA)
      • IEEE802.12 : 디멘드, 프라이빗(100VG-AnyLAN)
      • IEEE802.14 : Cable Modem
      • IEEE802.15.1 : 블루투스
      • IEEE802.15.4 : ZigBee
      • IEEE802.16 : Wibro(와이브로) & WiMAX
      일반적으로 우리가 접하는 것은 IEEE802.3 이다.
  • 유선랜 이더넷
    • 유선랜을 사용한 통신을 보통 이더넷(CSMA/CD 프로토콜을 사용한 통신)이라고 한다.
    • 랜선에 연결된 목적지로 통신을 하기 위한 기술일 뿐.
    • 인더넷 연결 ≠ 인터넷
    • 인터넷은 이더넷이 아니더라도, 무선랜을 통해 연결이 가능
    • 인트라넷의 경우 이더넷 기술로 연결됨
  • 무선랜 기술
    • Wireless LAN, WLAN, Wi-Fi 로도 불림
    • 전파를 이용해 컴퓨터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을 의미
    • IEEE802.11 표준에 기반
  • 점-대-점 광역통신망(Point-to-Point Protocol, PPP)
    • 두 점 간을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때 이용하는 광역 통신망(WAN)용 통신 규약
    • 데이터 링크 계층에 해당 → frame 사용
    • 인증, 암호화를 통한 전송 및 데이터 압축 기능을 제공
    • LAN 접속장치의 라우터 는 대부분 ppp를 지원한다.
    • 데이터 패킷의 헤더 부분만을 압축하는 기능, 비밀번호 인증 규약(PAP), 챌린지-핸드셰이크 인증 규약(CHAP) 등의 인증 규약을 포함
    • 원격 LAN 접속 시에 접속 서버가 클라이언트 개인 컴퓨터에 자동으로 IP주소를 할당(IPCP)
    • 공중망 을 통하여 ISP 서버에 접속하는 다이얼 앱 IP 접속 에서는 일반적으로 PPP 접속으로 IPCP를 이용한다. → 사용자는 세계적 IP 주소를 취득하지 않아도 된다.
    • 다이얼 앱 IP 접속을 위한 대표적인 규약
    • PPP의 인증 기능
      • PAP : 평문 ID, 암호를 사용해 인증하는 매우 단순한 프로토콜
        • 인증 요청 및 인증 응답이라는 2개의 절차만 존재(2-way handshaking protocol)
        • 보안이 취약하다 → 반복 공격에 취약
        • 개선책으로 CHAP이 존재
        • PAP 데이터
          • 인증 요청인 경우 : ID, 암호
          • 인증 응답인 경우 : 승인 및 거부를 나타내는 문자열
        • CHAP : 기존 PAP 방식의 보안 취약점을 개선한 인증 프로토콜
          • 연결 개설은 클라이언트가 하고, 인증 과정은 서버가 주관
          • 3단계로 인증(3-way handshaking protocol)
            1. Challenge : 인증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랜덤한 Challenge 메시지(랜덤수)를 보내 그 질문에 대한 올바른 응답을 요청한다.
            2. 응답 : 클라이언트가 Challenge 메시지와 자신의 암호 등을 이용해 해쉬 함수를 사용하여 계산한 결과인 해쉬 값을 보낸다.
            3. 인증 승인 또는 거부 : 인증 서버는 값이 일치하는지 안하는지에 따라 응답함
          • CHAP 데이터
  • FDDI, PPP, ATM
    • FDDI : 근거리통신망 광케이블 데이터전송 표준
      • 토큰링에 기반
    • PPP : 점대점 광역통신망
    • ATM(비동기전달모드) : 자료를 일정한 크기로 정하여 순서대로 전송하는 자료의 전송방식
      • 고속으로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
      • 비동기 전송모드 사용
      • 음성, 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전송과 데이터 전송이 가능
      • IP 헤더를 사용하지 않고 셀(Cell)이라는 ATM 전용 헤더 사용

용어 정리

  • CSMA/CD방식 : 이더넷에서 사용하는 미디어 접근제어 방법.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다른 장치가 사용중인지 확인하고, 충돌이 발생하면 재전송한다.
  • MAN : 도시 규모의 네트워크를 의미
  • 토큰 버스 방식: 네트워크에서 통신 권한을 가진 토큰을 순환시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 STP : 전기적인 잡음을 줄이기 위해 보호 층으로 둘러쌓인 쌍선 케이블을 의미
  • UTP : 보호층이 없는 쌍선 케이블을 의미
  • 토큰 패싱 액세스 : 토큰 버스 방식이나, 토큰링 방식처럼 토큰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 토큰링 방식 : 토큰버스 방식과 비슷하지만 물리적인 네트워크 구성이 링 형태이다
  • MAC 브릿지 : 데이터 프레임을 전달하는 브릿지를 의미
  • 디멘드 : 수요에 따라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
  • 프라이빗(100VG-AnyLAN) : 이더넷과 토큰링의 장점을 결합한것
  • IS LAN :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LAN을 지칭
  • 무선 LAN(CSMA/CA) : 무선 네트워크에서 충돌을방지하기 위한 방법
  • Cable Modem : 케이블 TV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모뎀
  • ZigBee : 저전력 디지털 라디오를 기반으로 한 무선 통신 표준
  • Wibro(와이브로) : 고속 인터넷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기술
  • WiMAX : 광범위한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기술
  • 라우터 :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장치
  • LAN 접속장치 : 라우터, 스위치 , 허브 등 LAN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
  • 비밀번호 인증 규약(PAP) :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인증하는 프로토콜
  • 챌린지-핸드셰이크 인증 규약(CHAP) : 비밀번호를 직접 전송하지 않고 인증하는 보안 프로토콜
  • 다이얼 업 IP 접속 : 전화선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 하는 방법

참고 자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기반 기술

[네트워크] TCP/IP 계층 기본 개념(네트워크 계층, 인터넷 계층, 전송계층, 응용계층)

IEEE802 표준

3. IEEE 802 Protocol

802

[컴퓨터네트워크] IEEE 정리

이더넷과 인터넷

이더넷(ethernet)과 인터넷(internet)의 차이 - 인터넷이란?

점대점광역통신망

점대점 통신 - 해시넷

TTA정보통신용어사전_모바일

[PPP] Point-to-Point Protocol이란 무엇인가? <1>

PPP(Point to Point Protocol)

  • FDDI, PPP, ATM

박용타(발표자료)

  • TCP/IP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에서의 기반기술
    • OSI7 물리계층(케이블,무선 을 이용한 전송), 데이터링크 계층(인트라 네트워크 통신에서 흐름 제어 및 오류제어를 담당, 이더넷 프로토콜, 와이파이 프로토콜 )의 역할
    • MAC
    • 비트스트림(OSI7 physical layer), 프레임(dataLink Layer)
  • IEEE802 표준
    • 근거리 통신망(LAN)과 도시권 통신망(MAN)을 관할하는 표준 규칙들
      • IEEE802.1 : 상위 계층 인터페이스 및 MAC 브릿지
      • IEEE802.2 : LLC(논리적 연결 제어) 하부 계층을 정의하는 부분
        • 에러 보정, 프레임 생성, 흐름제어 수행, 네트워크 계층에서 서비스 제공
      • IEEE802.3 : MAC 계층과 물리 계층을 정의하는 표준
        • 다양한 데이터 속도, 물리 계층 지원
        • CSMA/CD방식
        • 802.3의 확장으로 고속 이더넷이 존재
        • 이더넷에(CSMA/CD) 관한 규격
      • IEEE802.4 : MAC 계층과 물리 계층을 정의하는 표준
        • 토큰 버스 방식 사용, LAN에서 토큰이라는 제어 프레임이 매체 접근을 제어 ?
        • 전송 매체와 방식에 따라 1Mbps, 5Mbps, 10Mbps, 20Mbps 등 제공
        • 사무실, 연구실, 또는 공장 등 산업 시설에 많이 응용됨
        • Token Bus
      • IEEE802.5 : MAC 계층과 물리 계층을 정의하는 표준
        • 4Mbps, 16Mbps에서 STP와 UTP 선 연결위에, 토큰 패싱 액세스를 지원
        • 토큰링 방식을 사용
        • Toiken Ring
      • IEEE802.6 : 도시형 네트워크(MAN)을 정의한 규격
      • IEEE802.9 : IS LAN
      • IEEE802.10 : 네트워크 본안의 규격제정에 관계되어 있음???
      • IEEE802.11 : 무선 LAN(CSMA/CA)
      • IEEE802.12 : 디멘드, 프라이빗(100VG-AnyLAN)
      • IEEE802.14 : Cable Modem
      • IEEE802.15.1 : 블루투스
      • IEEE802.15.4 : ZigBee
      • IEEE802.16 : Wibro(와이브로) & WiMAX
      일반적으로 우리가 접하는 것은 IEEE802.3 이다.
  • 유선랜 이더넷
    • 유선랜을 사용한 통신을 보통 이더넷(CSMA/CD 프로토콜을 사용한 통신)이라고 한다.
    • 랜선에 연결된 목적지로 통신을 하기 위한 기술일 뿐.
    • 인더넷 연결 ≠ 인터넷
    • 인터넷은 이더넷이 아니더라도, 무선랜을 통해 연결이 가능
    • 인트라넷의 경우 이더넷 기술로 연결됨
  • 무선랜 기술
    • Wireless LAN, WLAN, Wi-Fi 로도 불림
    • 전파를 이용해 컴퓨터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을 의미
    • IEEE802.11 표준에 기반
  • 점-대-점 광역통신망(Point-to-Point Protocol, PPP)
    • 두 점 간을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때 이용하는 광역 통신망(WAN)용 통신 규약
    • 데이터 링크 계층에 해당 → frame 사용
    • 인증, 암호화를 통한 전송 및 데이터 압축 기능을 제공
    • LAN 접속장치의 라우터 는 대부분 ppp를 지원한다.
    • 데이터 패킷의 헤더 부분만을 압축하는 기능, 비밀번호 인증 규약(PAP), 챌린지-핸드셰이크 인증 규약(CHAP) 등의 인증 규약을 포함
    • 원격 LAN 접속 시에 접속 서버가 클라이언트 개인 컴퓨터에 자동으로 IP주소를 할당(IPCP)
    • 공중망 을 통하여 ISP 서버에 접속하는 다이얼 앱 IP 접속 에서는 일반적으로 PPP 접속으로 IPCP를 이용한다. → 사용자는 세계적 IP 주소를 취득하지 않아도 된다.
    • 다이얼 앱 IP 접속을 위한 대표적인 규약
    • PPP의 인증 기능
      • PAP : 평문 ID, 암호를 사용해 인증하는 매우 단순한 프로토콜
        • 인증 요청 및 인증 응답이라는 2개의 절차만 존재(2-way handshaking protocol)
        • 보안이 취약하다 → 반복 공격에 취약
        • 개선책으로 CHAP이 존재
        • PAP 데이터
          • 인증 요청인 경우 : ID, 암호
          • 인증 응답인 경우 : 승인 및 거부를 나타내는 문자열
        • CHAP : 기존 PAP 방식의 보안 취약점을 개선한 인증 프로토콜
          • 연결 개설은 클라이언트가 하고, 인증 과정은 서버가 주관
          • 3단계로 인증(3-way handshaking protocol)
            1. Challenge : 인증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랜덤한 Challenge 메시지(랜덤수)를 보내 그 질문에 대한 올바른 응답을 요청한다.
            2. 응답 : 클라이언트가 Challenge 메시지와 자신의 암호 등을 이용해 해쉬 함수를 사용하여 계산한 결과인 해쉬 값을 보낸다.
            3. 인증 승인 또는 거부 : 인증 서버는 값이 일치하는지 안하는지에 따라 응답함
          • CHAP 데이터
  • FDDI, PPP, ATM
    • FDDI : 근거리통신망 광케이블 데이터전송 표준
      • 토큰링에 기반
    • PPP : 점대점 광역통신망
    • ATM(비동기전달모드) : 자료를 일정한 크기로 정하여 순서대로 전송하는 자료의 전송방식
      • 고속으로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
      • 비동기 전송모드 사용
      • 음성, 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전송과 데이터 전송이 가능
      • IP 헤더를 사용하지 않고 셀(Cell)이라는 ATM 전용 헤더 사용

용어 정리

  • CSMA/CD방식 : 이더넷에서 사용하는 미디어 접근제어 방법.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다른 장치가 사용중인지 확인하고, 충돌이 발생하면 재전송한다.
  • MAN : 도시 규모의 네트워크를 의미
  • 토큰 버스 방식: 네트워크에서 통신 권한을 가진 토큰을 순환시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 STP : 전기적인 잡음을 줄이기 위해 보호 층으로 둘러쌓인 쌍선 케이블을 의미
  • UTP : 보호층이 없는 쌍선 케이블을 의미
  • 토큰 패싱 액세스 : 토큰 버스 방식이나, 토큰링 방식처럼 토큰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 토큰링 방식 : 토큰버스 방식과 비슷하지만 물리적인 네트워크 구성이 링 형태이다
  • MAC 브릿지 : 데이터 프레임을 전달하는 브릿지를 의미
  • 디멘드 : 수요에 따라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
  • 프라이빗(100VG-AnyLAN) : 이더넷과 토큰링의 장점을 결합한것
  • IS LAN :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LAN을 지칭
  • 무선 LAN(CSMA/CA) : 무선 네트워크에서 충돌을방지하기 위한 방법
  • Cable Modem : 케이블 TV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모뎀
  • ZigBee : 저전력 디지털 라디오를 기반으로 한 무선 통신 표준
  • Wibro(와이브로) : 고속 인터넷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기술
  • WiMAX : 광범위한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기술
  • 라우터 :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장치
  • LAN 접속장치 : 라우터, 스위치 , 허브 등 LAN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
  • 비밀번호 인증 규약(PAP) :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인증하는 프로토콜
  • 챌린지-핸드셰이크 인증 규약(CHAP) : 비밀번호를 직접 전송하지 않고 인증하는 보안 프로토콜
  • 다이얼 업 IP 접속 : 전화선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 하는 방법

참고 자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기반 기술

[네트워크] TCP/IP 계층 기본 개념(네트워크 계층, 인터넷 계층, 전송계층, 응용계층)

IEEE802 표준

3. IEEE 802 Protocol

802

[컴퓨터네트워크] IEEE 정리

이더넷과 인터넷

이더넷(ethernet)과 인터넷(internet)의 차이 - 인터넷이란?

점대점광역통신망

점대점 통신 - 해시넷

TTA정보통신용어사전_모바일

[PPP] Point-to-Point Protocol이란 무엇인가? <1>

PPP(Point to Point Protocol)

  • FDDI, PPP, ATM

박용타(발표자료)

  • TCP/IP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에서의 기반기술
    • OSI7 물리계층(케이블,무선 을 이용한 전송), 데이터링크 계층(인트라 네트워크 통신에서 흐름 제어 및 오류제어를 담당, 이더넷 프로토콜, 와이파이 프로토콜 )의 역할
    • MAC
    • 비트스트림(OSI7 physical layer), 프레임(dataLink Layer)
  • IEEE802 표준
    • 근거리 통신망(LAN)과 도시권 통신망(MAN)을 관할하는 표준 규칙들
      • IEEE802.1 : 상위 계층 인터페이스 및 MAC 브릿지
      • IEEE802.2 : LLC(논리적 연결 제어) 하부 계층을 정의하는 부분
        • 에러 보정, 프레임 생성, 흐름제어 수행, 네트워크 계층에서 서비스 제공
      • IEEE802.3 : MAC 계층과 물리 계층을 정의하는 표준
        • 다양한 데이터 속도, 물리 계층 지원
        • CSMA/CD방식
        • 802.3의 확장으로 고속 이더넷이 존재
        • 이더넷에(CSMA/CD) 관한 규격
      • IEEE802.4 : MAC 계층과 물리 계층을 정의하는 표준
        • 토큰 버스 방식 사용, LAN에서 토큰이라는 제어 프레임이 매체 접근을 제어 ?
        • 전송 매체와 방식에 따라 1Mbps, 5Mbps, 10Mbps, 20Mbps 등 제공
        • 사무실, 연구실, 또는 공장 등 산업 시설에 많이 응용됨
        • Token Bus
      • IEEE802.5 : MAC 계층과 물리 계층을 정의하는 표준
        • 4Mbps, 16Mbps에서 STP와 UTP 선 연결위에, 토큰 패싱 액세스를 지원
        • 토큰링 방식을 사용
        • Toiken Ring
      • IEEE802.6 : 도시형 네트워크(MAN)을 정의한 규격
      • IEEE802.9 : IS LAN
      • IEEE802.10 : 네트워크 본안의 규격제정에 관계되어 있음???
      • IEEE802.11 : 무선 LAN(CSMA/CA)
      • IEEE802.12 : 디멘드, 프라이빗(100VG-AnyLAN)
      • IEEE802.14 : Cable Modem
      • IEEE802.15.1 : 블루투스
      • IEEE802.15.4 : ZigBee
      • IEEE802.16 : Wibro(와이브로) & WiMAX
      일반적으로 우리가 접하는 것은 IEEE802.3 이다.
  • 유선랜 이더넷
    • 유선랜을 사용한 통신을 보통 이더넷(CSMA/CD 프로토콜을 사용한 통신)이라고 한다.
    • 랜선에 연결된 목적지로 통신을 하기 위한 기술일 뿐.
    • 인더넷 연결 ≠ 인터넷
    • 인터넷은 이더넷이 아니더라도, 무선랜을 통해 연결이 가능
    • 인트라넷의 경우 이더넷 기술로 연결됨
  • 무선랜 기술
    • Wireless LAN, WLAN, Wi-Fi 로도 불림
    • 전파를 이용해 컴퓨터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을 의미
    • IEEE802.11 표준에 기반
  • 점-대-점 광역통신망(Point-to-Point Protocol, PPP)
    • 두 점 간을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때 이용하는 광역 통신망(WAN)용 통신 규약
    • 데이터 링크 계층에 해당 → frame 사용
    • 인증, 암호화를 통한 전송 및 데이터 압축 기능을 제공
    • LAN 접속장치의 라우터 는 대부분 ppp를 지원한다.
    • 데이터 패킷의 헤더 부분만을 압축하는 기능, 비밀번호 인증 규약(PAP), 챌린지-핸드셰이크 인증 규약(CHAP) 등의 인증 규약을 포함
    • 원격 LAN 접속 시에 접속 서버가 클라이언트 개인 컴퓨터에 자동으로 IP주소를 할당(IPCP)
    • 공중망 을 통하여 ISP 서버에 접속하는 다이얼 앱 IP 접속 에서는 일반적으로 PPP 접속으로 IPCP를 이용한다. → 사용자는 세계적 IP 주소를 취득하지 않아도 된다.
    • 다이얼 앱 IP 접속을 위한 대표적인 규약
    • PPP의 인증 기능
      • PAP : 평문 ID, 암호를 사용해 인증하는 매우 단순한 프로토콜
        • 인증 요청 및 인증 응답이라는 2개의 절차만 존재(2-way handshaking protocol)
        • 보안이 취약하다 → 반복 공격에 취약
        • 개선책으로 CHAP이 존재
        • PAP 데이터
          • 인증 요청인 경우 : ID, 암호
          • 인증 응답인 경우 : 승인 및 거부를 나타내는 문자열
        • CHAP : 기존 PAP 방식의 보안 취약점을 개선한 인증 프로토콜
          • 연결 개설은 클라이언트가 하고, 인증 과정은 서버가 주관
          • 3단계로 인증(3-way handshaking protocol)
            1. Challenge : 인증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랜덤한 Challenge 메시지(랜덤수)를 보내 그 질문에 대한 올바른 응답을 요청한다.
            2. 응답 : 클라이언트가 Challenge 메시지와 자신의 암호 등을 이용해 해쉬 함수를 사용하여 계산한 결과인 해쉬 값을 보낸다.
            3. 인증 승인 또는 거부 : 인증 서버는 값이 일치하는지 안하는지에 따라 응답함
          • CHAP 데이터
  • FDDI, PPP, ATM
    • FDDI : 근거리통신망 광케이블 데이터전송 표준
      • 토큰링에 기반
    • PPP : 점대점 광역통신망
    • ATM(비동기전달모드) : 자료를 일정한 크기로 정하여 순서대로 전송하는 자료의 전송방식
      • 고속으로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
      • 비동기 전송모드 사용
      • 음성, 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전송과 데이터 전송이 가능
      • IP 헤더를 사용하지 않고 셀(Cell)이라는 ATM 전용 헤더 사용

용어 정리

  • CSMA/CD방식 : 이더넷에서 사용하는 미디어 접근제어 방법.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다른 장치가 사용중인지 확인하고, 충돌이 발생하면 재전송한다.
  • MAN : 도시 규모의 네트워크를 의미
  • 토큰 버스 방식: 네트워크에서 통신 권한을 가진 토큰을 순환시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 STP : 전기적인 잡음을 줄이기 위해 보호 층으로 둘러쌓인 쌍선 케이블을 의미
  • UTP : 보호층이 없는 쌍선 케이블을 의미
  • 토큰 패싱 액세스 : 토큰 버스 방식이나, 토큰링 방식처럼 토큰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 토큰링 방식 : 토큰버스 방식과 비슷하지만 물리적인 네트워크 구성이 링 형태이다
  • MAC 브릿지 : 데이터 프레임을 전달하는 브릿지를 의미
  • 디멘드 : 수요에 따라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
  • 프라이빗(100VG-AnyLAN) : 이더넷과 토큰링의 장점을 결합한것
  • IS LAN :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LAN을 지칭
  • 무선 LAN(CSMA/CA) : 무선 네트워크에서 충돌을방지하기 위한 방법
  • Cable Modem : 케이블 TV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모뎀
  • ZigBee : 저전력 디지털 라디오를 기반으로 한 무선 통신 표준
  • Wibro(와이브로) : 고속 인터넷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기술
  • WiMAX : 광범위한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기술
  • 라우터 :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장치
  • LAN 접속장치 : 라우터, 스위치 , 허브 등 LAN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
  • 비밀번호 인증 규약(PAP) :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인증하는 프로토콜
  • 챌린지-핸드셰이크 인증 규약(CHAP) : 비밀번호를 직접 전송하지 않고 인증하는 보안 프로토콜
  • 다이얼 업 IP 접속 : 전화선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 하는 방법

참고 자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기반 기술

[네트워크] TCP/IP 계층 기본 개념(네트워크 계층, 인터넷 계층, 전송계층, 응용계층)

IEEE802 표준

3. IEEE 802 Protocol

802

[컴퓨터네트워크] IEEE 정리

이더넷과 인터넷

이더넷(ethernet)과 인터넷(internet)의 차이 - 인터넷이란?

점대점광역통신망

점대점 통신 - 해시넷

TTA정보통신용어사전_모바일

[PPP] Point-to-Point Protocol이란 무엇인가? <1>

PPP(Point to Point Protocol)

  • FDDI, PPP, ATM

박용타(발표자료)

  • TCP/IP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에서의 기반기술
    • OSI7 물리계층(케이블,무선 을 이용한 전송), 데이터링크 계층(인트라 네트워크 통신에서 흐름 제어 및 오류제어를 담당, 이더넷 프로토콜, 와이파이 프로토콜 )의 역할
    • MAC
    • 비트스트림(OSI7 physical layer), 프레임(dataLink Layer)
  • IEEE802 표준
    • 근거리 통신망(LAN)과 도시권 통신망(MAN)을 관할하는 표준 규칙들
      • IEEE802.1 : 상위 계층 인터페이스 및 MAC 브릿지
      • IEEE802.2 : LLC(논리적 연결 제어) 하부 계층을 정의하는 부분
        • 에러 보정, 프레임 생성, 흐름제어 수행, 네트워크 계층에서 서비스 제공
      • IEEE802.3 : MAC 계층과 물리 계층을 정의하는 표준
        • 다양한 데이터 속도, 물리 계층 지원
        • CSMA/CD방식
        • 802.3의 확장으로 고속 이더넷이 존재
        • 이더넷에(CSMA/CD) 관한 규격
      • IEEE802.4 : MAC 계층과 물리 계층을 정의하는 표준
        • 토큰 버스 방식 사용, LAN에서 토큰이라는 제어 프레임이 매체 접근을 제어 ?
        • 전송 매체와 방식에 따라 1Mbps, 5Mbps, 10Mbps, 20Mbps 등 제공
        • 사무실, 연구실, 또는 공장 등 산업 시설에 많이 응용됨
        • Token Bus
      • IEEE802.5 : MAC 계층과 물리 계층을 정의하는 표준
        • 4Mbps, 16Mbps에서 STP와 UTP 선 연결위에, 토큰 패싱 액세스를 지원
        • 토큰링 방식을 사용
        • Toiken Ring
      • IEEE802.6 : 도시형 네트워크(MAN)을 정의한 규격
      • IEEE802.9 : IS LAN
      • IEEE802.10 : 네트워크 본안의 규격제정에 관계되어 있음???
      • IEEE802.11 : 무선 LAN(CSMA/CA)
      • IEEE802.12 : 디멘드, 프라이빗(100VG-AnyLAN)
      • IEEE802.14 : Cable Modem
      • IEEE802.15.1 : 블루투스
      • IEEE802.15.4 : ZigBee
      • IEEE802.16 : Wibro(와이브로) & WiMAX
      일반적으로 우리가 접하는 것은 IEEE802.3 이다.
  • 유선랜 이더넷
    • 유선랜을 사용한 통신을 보통 이더넷(CSMA/CD 프로토콜을 사용한 통신)이라고 한다.
    • 랜선에 연결된 목적지로 통신을 하기 위한 기술일 뿐.
    • 인더넷 연결 ≠ 인터넷
    • 인터넷은 이더넷이 아니더라도, 무선랜을 통해 연결이 가능
    • 인트라넷의 경우 이더넷 기술로 연결됨
  • 무선랜 기술
    • Wireless LAN, WLAN, Wi-Fi 로도 불림
    • 전파를 이용해 컴퓨터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을 의미
    • IEEE802.11 표준에 기반
  • 점-대-점 광역통신망(Point-to-Point Protocol, PPP)
    • 두 점 간을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때 이용하는 광역 통신망(WAN)용 통신 규약
    • 데이터 링크 계층에 해당 → frame 사용
    • 인증, 암호화를 통한 전송 및 데이터 압축 기능을 제공
    • LAN 접속장치의 라우터 는 대부분 ppp를 지원한다.
    • 데이터 패킷의 헤더 부분만을 압축하는 기능, 비밀번호 인증 규약(PAP), 챌린지-핸드셰이크 인증 규약(CHAP) 등의 인증 규약을 포함
    • 원격 LAN 접속 시에 접속 서버가 클라이언트 개인 컴퓨터에 자동으로 IP주소를 할당(IPCP)
    • 공중망 을 통하여 ISP 서버에 접속하는 다이얼 앱 IP 접속 에서는 일반적으로 PPP 접속으로 IPCP를 이용한다. → 사용자는 세계적 IP 주소를 취득하지 않아도 된다.
    • 다이얼 앱 IP 접속을 위한 대표적인 규약
    • PPP의 인증 기능
      • PAP : 평문 ID, 암호를 사용해 인증하는 매우 단순한 프로토콜
        • 인증 요청 및 인증 응답이라는 2개의 절차만 존재(2-way handshaking protocol)
        • 보안이 취약하다 → 반복 공격에 취약
        • 개선책으로 CHAP이 존재
        • PAP 데이터
          • 인증 요청인 경우 : ID, 암호
          • 인증 응답인 경우 : 승인 및 거부를 나타내는 문자열
        • CHAP : 기존 PAP 방식의 보안 취약점을 개선한 인증 프로토콜
          • 연결 개설은 클라이언트가 하고, 인증 과정은 서버가 주관
          • 3단계로 인증(3-way handshaking protocol)
            1. Challenge : 인증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랜덤한 Challenge 메시지(랜덤수)를 보내 그 질문에 대한 올바른 응답을 요청한다.
            2. 응답 : 클라이언트가 Challenge 메시지와 자신의 암호 등을 이용해 해쉬 함수를 사용하여 계산한 결과인 해쉬 값을 보낸다.
            3. 인증 승인 또는 거부 : 인증 서버는 값이 일치하는지 안하는지에 따라 응답함
          • CHAP 데이터
  • FDDI, PPP, ATM
    • FDDI : 근거리통신망 광케이블 데이터전송 표준
      • 토큰링에 기반
    • PPP : 점대점 광역통신망
    • ATM(비동기전달모드) : 자료를 일정한 크기로 정하여 순서대로 전송하는 자료의 전송방식
      • 고속으로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
      • 비동기 전송모드 사용
      • 음성, 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전송과 데이터 전송이 가능
      • IP 헤더를 사용하지 않고 셀(Cell)이라는 ATM 전용 헤더 사용

용어 정리

  • CSMA/CD방식 : 이더넷에서 사용하는 미디어 접근제어 방법.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다른 장치가 사용중인지 확인하고, 충돌이 발생하면 재전송한다.
  • MAN : 도시 규모의 네트워크를 의미
  • 토큰 버스 방식: 네트워크에서 통신 권한을 가진 토큰을 순환시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 STP : 전기적인 잡음을 줄이기 위해 보호 층으로 둘러쌓인 쌍선 케이블을 의미
  • UTP : 보호층이 없는 쌍선 케이블을 의미
  • 토큰 패싱 액세스 : 토큰 버스 방식이나, 토큰링 방식처럼 토큰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 토큰링 방식 : 토큰버스 방식과 비슷하지만 물리적인 네트워크 구성이 링 형태이다
  • MAC 브릿지 : 데이터 프레임을 전달하는 브릿지를 의미
  • 디멘드 : 수요에 따라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
  • 프라이빗(100VG-AnyLAN) : 이더넷과 토큰링의 장점을 결합한것
  • IS LAN :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LAN을 지칭
  • 무선 LAN(CSMA/CA) : 무선 네트워크에서 충돌을방지하기 위한 방법
  • Cable Modem : 케이블 TV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모뎀
  • ZigBee : 저전력 디지털 라디오를 기반으로 한 무선 통신 표준
  • Wibro(와이브로) : 고속 인터넷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기술
  • WiMAX : 광범위한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기술
  • 라우터 :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장치
  • LAN 접속장치 : 라우터, 스위치 , 허브 등 LAN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
  • 비밀번호 인증 규약(PAP) :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인증하는 프로토콜
  • 챌린지-핸드셰이크 인증 규약(CHAP) : 비밀번호를 직접 전송하지 않고 인증하는 보안 프로토콜
  • 다이얼 업 IP 접속 : 전화선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 하는 방법

참고 자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기반 기술

[네트워크] TCP/IP 계층 기본 개념(네트워크 계층, 인터넷 계층, 전송계층, 응용계층)

IEEE802 표준

3. IEEE 802 Protocol

802

[컴퓨터네트워크] IEEE 정리

이더넷과 인터넷

이더넷(ethernet)과 인터넷(internet)의 차이 - 인터넷이란?

점대점광역통신망

점대점 통신 - 해시넷

TTA정보통신용어사전_모바일

[PPP] Point-to-Point Protocol이란 무엇인가? <1>

PPP(Point to Point Protocol)

  • FDDI, PPP, ATM

박용타(발표자료)

  • TCP/IP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에서의 기반기술
    • OSI7 물리계층(케이블,무선 을 이용한 전송), 데이터링크 계층(인트라 네트워크 통신에서 흐름 제어 및 오류제어를 담당, 이더넷 프로토콜, 와이파이 프로토콜 )의 역할
    • MAC
    • 비트스트림(OSI7 physical layer), 프레임(dataLink Layer)
  • IEEE802 표준
    • 근거리 통신망(LAN)과 도시권 통신망(MAN)을 관할하는 표준 규칙들
      • IEEE802.1 : 상위 계층 인터페이스 및 MAC 브릿지
      • IEEE802.2 : LLC(논리적 연결 제어) 하부 계층을 정의하는 부분
        • 에러 보정, 프레임 생성, 흐름제어 수행, 네트워크 계층에서 서비스 제공
      • IEEE802.3 : MAC 계층과 물리 계층을 정의하는 표준
        • 다양한 데이터 속도, 물리 계층 지원
        • CSMA/CD방식
        • 802.3의 확장으로 고속 이더넷이 존재
        • 이더넷에(CSMA/CD) 관한 규격
      • IEEE802.4 : MAC 계층과 물리 계층을 정의하는 표준
        • 토큰 버스 방식 사용, LAN에서 토큰이라는 제어 프레임이 매체 접근을 제어 ?
        • 전송 매체와 방식에 따라 1Mbps, 5Mbps, 10Mbps, 20Mbps 등 제공
        • 사무실, 연구실, 또는 공장 등 산업 시설에 많이 응용됨
        • Token Bus
      • IEEE802.5 : MAC 계층과 물리 계층을 정의하는 표준
        • 4Mbps, 16Mbps에서 STP와 UTP 선 연결위에, 토큰 패싱 액세스를 지원
        • 토큰링 방식을 사용
        • Toiken Ring
      • IEEE802.6 : 도시형 네트워크(MAN)을 정의한 규격
      • IEEE802.9 : IS LAN
      • IEEE802.10 : 네트워크 본안의 규격제정에 관계되어 있음???
      • IEEE802.11 : 무선 LAN(CSMA/CA)
      • IEEE802.12 : 디멘드, 프라이빗(100VG-AnyLAN)
      • IEEE802.14 : Cable Modem
      • IEEE802.15.1 : 블루투스
      • IEEE802.15.4 : ZigBee
      • IEEE802.16 : Wibro(와이브로) & WiMAX
      일반적으로 우리가 접하는 것은 IEEE802.3 이다.
  • 유선랜 이더넷
    • 유선랜을 사용한 통신을 보통 이더넷(CSMA/CD 프로토콜을 사용한 통신)이라고 한다.
    • 랜선에 연결된 목적지로 통신을 하기 위한 기술일 뿐.
    • 인더넷 연결 ≠ 인터넷
    • 인터넷은 이더넷이 아니더라도, 무선랜을 통해 연결이 가능
    • 인트라넷의 경우 이더넷 기술로 연결됨
  • 무선랜 기술
    • Wireless LAN, WLAN, Wi-Fi 로도 불림
    • 전파를 이용해 컴퓨터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을 의미
    • IEEE802.11 표준에 기반
  • 점-대-점 광역통신망(Point-to-Point Protocol, PPP)
    • 두 점 간을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때 이용하는 광역 통신망(WAN)용 통신 규약
    • 데이터 링크 계층에 해당 → frame 사용
    • 인증, 암호화를 통한 전송 및 데이터 압축 기능을 제공
    • LAN 접속장치의 라우터 는 대부분 ppp를 지원한다.
    • 데이터 패킷의 헤더 부분만을 압축하는 기능, 비밀번호 인증 규약(PAP), 챌린지-핸드셰이크 인증 규약(CHAP) 등의 인증 규약을 포함
    • 원격 LAN 접속 시에 접속 서버가 클라이언트 개인 컴퓨터에 자동으로 IP주소를 할당(IPCP)
    • 공중망 을 통하여 ISP 서버에 접속하는 다이얼 앱 IP 접속 에서는 일반적으로 PPP 접속으로 IPCP를 이용한다. → 사용자는 세계적 IP 주소를 취득하지 않아도 된다.
    • 다이얼 앱 IP 접속을 위한 대표적인 규약
    • PPP의 인증 기능
      • PAP : 평문 ID, 암호를 사용해 인증하는 매우 단순한 프로토콜
        • 인증 요청 및 인증 응답이라는 2개의 절차만 존재(2-way handshaking protocol)
        • 보안이 취약하다 → 반복 공격에 취약
        • 개선책으로 CHAP이 존재
        • PAP 데이터
          • 인증 요청인 경우 : ID, 암호
          • 인증 응답인 경우 : 승인 및 거부를 나타내는 문자열
        • CHAP : 기존 PAP 방식의 보안 취약점을 개선한 인증 프로토콜
          • 연결 개설은 클라이언트가 하고, 인증 과정은 서버가 주관
          • 3단계로 인증(3-way handshaking protocol)
            1. Challenge : 인증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랜덤한 Challenge 메시지(랜덤수)를 보내 그 질문에 대한 올바른 응답을 요청한다.
            2. 응답 : 클라이언트가 Challenge 메시지와 자신의 암호 등을 이용해 해쉬 함수를 사용하여 계산한 결과인 해쉬 값을 보낸다.
            3. 인증 승인 또는 거부 : 인증 서버는 값이 일치하는지 안하는지에 따라 응답함
          • CHAP 데이터
  • FDDI, PPP, ATM
    • FDDI : 근거리통신망 광케이블 데이터전송 표준
      • 토큰링에 기반
    • PPP : 점대점 광역통신망
    • ATM(비동기전달모드) : 자료를 일정한 크기로 정하여 순서대로 전송하는 자료의 전송방식
      • 고속으로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
      • 비동기 전송모드 사용
      • 음성, 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전송과 데이터 전송이 가능
      • IP 헤더를 사용하지 않고 셀(Cell)이라는 ATM 전용 헤더 사용

용어 정리

  • CSMA/CD방식 : 이더넷에서 사용하는 미디어 접근제어 방법.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다른 장치가 사용중인지 확인하고, 충돌이 발생하면 재전송한다.
  • MAN : 도시 규모의 네트워크를 의미
  • 토큰 버스 방식: 네트워크에서 통신 권한을 가진 토큰을 순환시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 STP : 전기적인 잡음을 줄이기 위해 보호 층으로 둘러쌓인 쌍선 케이블을 의미
  • UTP : 보호층이 없는 쌍선 케이블을 의미
  • 토큰 패싱 액세스 : 토큰 버스 방식이나, 토큰링 방식처럼 토큰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 토큰링 방식 : 토큰버스 방식과 비슷하지만 물리적인 네트워크 구성이 링 형태이다
  • MAC 브릿지 : 데이터 프레임을 전달하는 브릿지를 의미
  • 디멘드 : 수요에 따라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
  • 프라이빗(100VG-AnyLAN) : 이더넷과 토큰링의 장점을 결합한것
  • IS LAN :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LAN을 지칭
  • 무선 LAN(CSMA/CA) : 무선 네트워크에서 충돌을방지하기 위한 방법
  • Cable Modem : 케이블 TV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모뎀
  • ZigBee : 저전력 디지털 라디오를 기반으로 한 무선 통신 표준
  • Wibro(와이브로) : 고속 인터넷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기술
  • WiMAX : 광범위한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기술
  • 라우터 :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장치
  • LAN 접속장치 : 라우터, 스위치 , 허브 등 LAN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
  • 비밀번호 인증 규약(PAP) :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인증하는 프로토콜
  • 챌린지-핸드셰이크 인증 규약(CHAP) : 비밀번호를 직접 전송하지 않고 인증하는 보안 프로토콜
  • 다이얼 업 IP 접속 : 전화선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 하는 방법

참고 자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기반 기술

[네트워크] TCP/IP 계층 기본 개념(네트워크 계층, 인터넷 계층, 전송계층, 응용계층)

IEEE802 표준

3. IEEE 802 Protocol

802

[컴퓨터네트워크] IEEE 정리

이더넷과 인터넷

이더넷(ethernet)과 인터넷(internet)의 차이 - 인터넷이란?

점대점광역통신망

점대점 통신 - 해시넷

TTA정보통신용어사전_모바일

[PPP] Point-to-Point Protocol이란 무엇인가? <1>

PPP(Point to Point Protocol)

  • FDDI, PPP, ATM